1993. 04. 16. 제정
2000. 05. 12. 1차 개정
2002. 04. 12. 2차 개정
2004. 05. 08. 3차 개정
2011. 05. 28. 4차 개정
2016. 05. 21. 5차 개정
2018. 09. 15. 6차 개정
2019. 03. 08. 7차 개정
1. 원고작성
① 논문은 한글 2002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제출한다.
MS-word로 작성된 논문은 반드시 한글 2002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변환 뒤 제출해야 한다.
② 논문은 다음과 같은 양식에 맞추어 작성하되 논문분량은 A4 20쪽 이내 (영문 또는 국문초록 포함)로 한다<2019.03.08 개정>.
|
글자모양
|
문단모양
|
편집용지
설정 |
위쪽·아래쪽 여백 각각 37, 왼쪽·오른쪽 여백 각각 37,
머리말12, 꼬리말 10, 제본 0 |
요약
(10줄
이내) |
휴먼명조 9 보통, |
여백 왼쪽·오른쪽 각각 5, 들여쓰기 10,
줄간격 150 |
본문 |
휴먼명조 10, 보통, 장평 97 자간 -2, |
들여쓰기 10, 줄간격 170, 양쪽혼합 |
각주 |
신명조 9, 보통 |
줄간격 130 |
참고문헌 |
휴먼명조 10, 보통, 장평 97, 자간 -2, |
여백 왼쪽 6, 오른쪽 0,
내어쓰기 30, 줄간격 160,
양쪽혼합 |
Abstract
(영문) |
휴먼명조 10, 보통 |
들여쓰기 10, 줄간격 170,
양쪽혼합 |
기타 |
영문원고의 경우, 편집사항은 모두 위와 동일하다.
단, 영문요약과 한글초록을 작성한다. |
※ A4 (210*297) 용지 기준
③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,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기하거나 ( )속에 원어를 표기하며,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표기한다.
④ 논문은 교정이 완전히 끝나서 그대로 출판할 수 있는 완전한 상태로 제출한다. 이를 그대로 출판했을 때 발견되는 맞춤법, 띄어쓰기, 구두점 등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필자에 있다.
2. 제목의 번호 부여
논문 제목 (진하게, 휴먼명조 14, 줄간격 170, 가운데 정렬)
※ 제목 아래에는 저자의 이름과 소속, 직위를 기재한다(제1저자를 비롯한 모든 공동저자가 해당된다).
이 때 미성년자의 경우 소속이 없을 때에는 최종 소속을, 있을 때에는 현재 소속과 직위, 재학년도를
표기해야 한다. 만약 투고자가 이를 준수하지 않거나, 미기재 혹은 오기재를 할 경우에는 편집위원
회가 정정을 요청할 수 있다.
공동저자의 경우 제1저자를 맨 앞에 기재하며, 교신저자는 각주를 달아 표시한다. 이 때 교신저자의
이메일 주소를 표기한다.
<소속 및 직위별 표시 사항(안)>
대상 |
|
표시할 사항 |
대학 소속 |
대학 소속 교수
(전임/비전임) |
성명/OO대학/교수 |
|
대학 소속 강사 |
성명/OO대학/강사 |
|
대학 소속 학생 |
성명/OO대학/학부생, 석사과정, 박사과정 |
|
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 |
성명/OO대학/박사후연구원 |
초중등학교 소속 |
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|
성명/OO학교/학생 |
|
초중등학교 소속 교사 |
성명/OO학교/교사 |
기타 |
소속/직위가 없는 경우 |
성명 |
1단계 :Ⅰ,Ⅱ,Ⅲ (진하게, 휴먼명조 13, 줄간격 170, 가운데 정렬)
2단계 : 1, 2, 3 (진하게, 휴먼명조 12, 줄간격 170, 들여쓰기 10, 양쪽혼합정렬)
3단계 : 가, 나, 다 (진하게, 휴먼명조 10, 줄간격 170, 들여쓰기 없음, 양쪽혼합정렬)
4단계 : 1), 2), 3) (진하게, 휴먼명조 10, 줄간격 170, 들여쓰기 10, 양쪽혼합정렬)
5단계 : 가), 나), 다) (휴먼명조 10, 줄간격 170, 들여쓰기 없음, 양쪽혼합정렬)
6단계 : (1), (2), (3)
7단계 : (가). (나), (다)
8단계 : ①, ②, ③
9단계 : ㉮, ㉯, ㉰
3. 각주 및 인용문 표기
① 각주는 APA식에 의거하여 작성한다. 단,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은 각주로 작성하며, 미(후)주는 사용하지 않는다.
② 참고문헌의 연구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했거나 저자가 자신의 말로 바꾸어 설명할 경우(paraphrase)에는 저자와 출판연도만을 밝히고[예. (Hoy & Miskel, 2001)], 참고문헌의 특정 부분을 요약했거나 저자가 자신의 말로 바꾸어 설명할 경우(paraphrase) 및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경우에는 저자 및 출판연도와 함께 인용 페이지를 밝혀야 한다[예, (Hoy & Miskel, 2001: 15-17)].
③ 참고문헌의 원문을 두 문장 이상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인용부호(큰 따옴표)를 표시하고, 저자와 출판연도 및 인용 페이지를 밝혀야 한다.
④ 1차 자료를 이용하여 표와 그림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, 참고문헌의 표와 그림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수정하여 작성하였을 경우, 출처에 1차 자료를 밝혀서는 안되며, 반드시 2차 자료를 밝혀야 한다.
⑤ 저자가 2인인 경우 저자명을 인용할 때마다 두 사람의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.
예 1) 이와 같은 결과는 홍길동, 김철수(1999)의 연구에서...
...한 것으로 확인되었다(홍길동, 김철수, 1999).
예 2) Gardner와 Lambert(1976)가 주장한 것처럼...
...인 것으로 입증되었다(Gardner & Lambert, 1972).
⑥ 저자가 3~5인인 경우 처음 언급할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표기하고, 그 다음부터는 ∼외 또는 ∼등 으로 표기한다. 단 영어 자료인 경우 괄호 안에 제시될 때는 et al.로 표기한다.
예 1) 첫 인용 : 홍길동, 이교육과 박행정(2007)은….
재 인용 : 홍길동 외(2007)는….
예 2) 첫 인용 : Glickman, Gordon과 Ross-Gordon(2010)은….
재 인용 : Glickman 외(2010)는….
⑦ 저자가 6인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고, 논문 뒤의 참고 문헌 목록에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표기한다.
예 1) 첫 인용, 재인용 모두 : 홍길동 외(2007)는 ….
교육행정학 연구(홍길동 외, 2007)는….
예 2) 첫 인용, 재인용 모두 : Glickman 외(2010)는….
학교조직의 개선 (Glickman et al., 2010)을….
4. 표와 그림의 형식과 제목 달기
①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, 표에는 “< >”, 그림에는 “[ ]”와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.
표나 그림의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 1부터 시작한다.
② 표의 제목은 상단 좌측에, 그림은 하단 중앙에 제시하고, 모두 진한 글자로 표시한다.
③ 표와 그림은 원본을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필자가 책임지고 완벽하게 작성·제출한다.
5. 참고문헌 목록 표기
① 참고문헌은 APA식에 의거하여 작성하되,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한, 중, 일, 서양 순으로 열거한다.
② 참고문헌을 APA식으로 작성하지 아니한 논문은 접수하지 않는다.
③ 참고문헌은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.
※ 영문책명 및 권(호)수 기재는 이탤릭체로 작성한다.
※ 영문 논문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고,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쓴다(단행본의 경우 동일).
단, 정기간행물의 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되, 각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한다.
● 단행본의 경우
홍길동. (2007). 교육행정학. 서울: 서울출판사.
Khan, S. (2012). The one world schoolhouse. London: Hodder.
●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인 경우
홍길동, 김철수. (2000).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 분석. 교육행정학연구, 20(2), 23-45.
Tinto, V. (1975).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: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.
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, 45(1), 89-125.
● 학위논문의 경우
홍길동. (2000). 교육행정학 연구 동향. 박사학위논문. 한국대학교.
Gold, N. C. (1981). Meta-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.
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. University of Massachusetts.
● 편저 속의 논문의 경우(해당 페이지를 반드시 밝힐 것)
홍길동. (1999). 학교 문화이론. 김교육, 박행정 (편.), 문화와 권력 (pp. 89-110). 서울: 문화사.
●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인 경우
(출판된 경우)
홍길동. (2000). 교육행정학: 이론적 배경, 과제 및 전망. 한국교육행정학회 (편.),
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(pp. 57-62). 서울: 행정출판사.
Larson, C. (1990). To decompose or not to decompose. In R. Brown & J. Gardner (Ed.),
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xicon (pp. 121-133).
Austin, TX: University of Texas Press.
(미출판된 경우)
홍길동. (2000, 8월). 교육행정학: 이론적 배경, 과제 및 전망. 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,
서울: 한국대학교 인문관.
Lanktree, C., & Briere, J. (1991, January). Early data on the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.
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,
San Diego, CA.
● 연구보고서의 경우
김성숙, 백순근, 노국향, 이선경, 박선미. (1998). 1998년도 초/중/고 학업성취도 평가연구.
(연구보고 RRE 98-6). 서울: 한국교육과정평가원.
● 신문기사의 경우
동아일보. (2000. 9. 23.). 대학 구조조정 직면. 18면.
● 전자 매체, URL 등 인터넷 간행물의 표기
인터넷에서 정보를 인출한 경우 자료 원천의 이름과 주소를 적은 후 인출한 날짜의 연월일을 구분하여
적고 “ … 에서 인출”이라고 적어 문장을 끝낸다. 반드시, URL과 인출한 날짜를 기입한다.
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(2001, August 1). APA style for electronic resources.
http://www.apastyle.org/styleelecref.html에서 2001. 9. 5 인출.
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(n.d). APA style for electronic resource
http://www.apastyle.org/styleelecref.html에서 2001. 9. 5 인출.
6. 주제어
원고 서두의 “한글요약 말미”와 마지막 페이지의 “영문초록 말미”에 반드시 5개 이하의 주제어를 제시한다.
요약(한글) [주제어] _____,_____,_____,_____,_____
초록(영문) [Key words] _____,_____,_____,_____,_____
* 영문원고의 경우도 해당 언어에 맞게 요약과 초록에서 각각 제시.
|